"버려진 플라스틱이 돈이다" l 플라스틱, 로봇으로 회수한다 International project "SeaClear" led by Fraunhofer will clean up the seabed using science, robots and drones


버려진 플라스틱이 돈이다…화학업계, 재활용사업 '올인'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코카콜라·로레알·아디다스 등

"재생 플라스틱만 사가겠다"


수입 늘어나는 폐플라스틱


   효성그룹의 화학섬유 계열사인 효성티앤씨는 지난 7월부터 제주도 등과 함께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에서 버려지는 페트병을 수거한 뒤 이를 원료로 리사이클 섬유 브랜드인 리젠을 만든다. 가방 제조 스타트업인 플리츠마마가 이 섬유를 공급받아 가방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폐플라스틱 모으는 국내 기업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화학업계가 올 들어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피해가 불거지면서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서다. 주요 고객인 글로벌 기업들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제품만 받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환경보호 차원을 넘어 화학업체 생존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LG화학은 지난 7월 내놓은 ‘탄소중립 성장선언’을 통해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제품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SK종합화학도 20% 수준인 친환경 제품 비중을 2025년까지 70%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은 “환경 문제에 직면한 화학산업은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3월부터 폐페트병을 수거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국내 화학업체들은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재생원료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SK케미칼은 버려진 페트병을 수거해 자체 개발한 리사이클원료인 ‘에코트리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에코트리아는 화장품 용기에 들어가는 투명 원료로 활용된다.


전방위로 강화되는 환경규제

국내 화학업체들이 플라스틱 재활용에 주력하는 건 고객인 글로벌 기업들의 주문에 따른 것이다. 세계 최대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은 2030년까지 제품 포장을 위한 플라스틱에 100% 재생원료를 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코카콜라는 2030년까지 용기의 50% 이상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나이키는 연내 50%, 아디다스는 2022년까지 100%를 플라스틱 재생원료로 사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전 세계 각국도 플라스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까지 화장품 용기를 비롯한 플라스틱 포장재의 재활용 비중을 55%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2030년부터는 플라스틱 포장재를 100% 재활용해야 한다. 일본도 2030년까지 플라스틱 재활용 비중을 60%까지 늘릴 계획이다.


폐페트병을 수거하는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  /한경DB 


방치되는 국내 폐플라스틱

폐플라스틱은 파쇄 및 세척 작업을 거쳐 작은 플라스틱 조각인 플레이크로 만들어진다. 플레이크를 가공하면 플라스틱 제품 원료가 된다. 문제는 국내에서 수거되는 플레이크의 오염이 심하다는 점이다. 각종 폐기물과 함께 버려지는 데다 이물질도 많이 섞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국내 폐플라스틱은 대부분 소각한 뒤 연료로 활용된다. 재활용 비중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결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만든 섬유 등은 전량 수입된 재생원료로 제작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폐플라스틱 수입량은 14.4만t으로, 2017년 대비 세 배 이상 급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해 방치되는 폐플라스틱도 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하루 평균 배출 폐플라스틱은 848t으로, 전년 동기(734t) 대비 15.6% 늘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오는 12월부터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투명 페트병을 플라스틱과 별도로 분리 배출하도록 했다. 단독주택은 내년 12월부터 적용된다. 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투명 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한 화학업체 관계자는 “페트병 분리배출 제도가 제대로 정착되면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고품질 원료 제작이 한층 더 쉬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한국일보




바다 생태계 위협하는 플라스틱, 로봇으로 회수한다


CML 기관, '시클리어' 프로젝트 추진


    바다속으로 흘러들어가는 대량의 플라스틱을 회수하려는 로봇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뉴아틀라스 등 매체에 따르면 ‘해양 로지스틱 및 서비스를 위한 프라운호퍼센터(Fraunhofer Center for Maritime Logistics and Services·CML)’는 뮌헨공대 등과 협력해 해양 오염의 주범인 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위한 자율 로봇 프로젝트 ‘시클리어(SeaClear)'를 추진하고 있다.


 

시클리어 프로젝트의 로봇 시스템 구성도


 

International project "SeaClear" led by Fraunhofer will clean up the seabed using science, robots and drones


86 million metric tons of plastics end up in the oceans every year, with devastating consequences for marine life, nature and, ultimately, for us humans. The vast floating patches of plastic carpeting the water’s surface, some as large as entire countries, are only the tip of the iceberg. Around 90 percent of this garbage ends up on the seabed. The Fraunhofer Center for Maritime Logistics and Services CML and an international network of partners want to be the first to tidy up this mess with a project called SeaClear. An interview with project managers Johannes Oeffner and Cosmin Delea follows.


View full text

https://sciencebusiness.net/network-updates/international-project-seaclear-led-fraunhofer-will-clean-seabed-using-science


edited by kcontents


이 프로젝트의 팀장을 맡고 있는 요하네스 외프너는 “오는 205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이 지금보다 4배 정도 증가하며, 세계경제포럼의 예측대로라면 지난 2014년 물고기와 플라스틱의 숫자가 5대 1의 비율이었지만 2050년에는 동일한 비율이 될 것”이라며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는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향후 인류가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CML에 따르면 연간 8600만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ML은 국제적인 협력 파트너들과 함께 자율 로봇을 활용해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시클리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CML, 뮌헨공대, 함브르크항만공사, 두보르니크 지역개발기구 등이 참여하고 있다. 원격제어 수중 로봇인 ROV(원격제어잠수정) 2대와 드론, 그리고 모선 역할을 하는 무인 수상선박이 투입된다.


'시클리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ROV


시클리어 프로젝트팀은 우선 드론과 1대의 ROV를 투입해 수상과 수중의 플라스틱 분포 현황을 조사한다. 무인 수상선박은 수중 작업용 케이블인 엄비리컬 케이블(umbilical cable)을 이용해 ROV와 연결되어 있으며 ROV에 전력을 공급한다. ROV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모선으로 전송된다.




수상과 수중에서 동시에 플라스틱이 발견된다면 광범위하게 플라스틱으로 오염된 지역이라고 보고 ROV를 추가 투입한다. ROV에는 플라스틱 회수에 적합한 그리퍼와 흡착 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회수된 플라스틱은 중앙에 있는 회수통으로 들어간다.


프로젝트팀은 해양 동물, 산호초, 자율구조물을 플라스틱과 오인하지 않도록 두 번째의 드론에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을 탑재했다.


현재 로봇들은 독일 함브르크항과 크로아티아의 두보르니크 해안가에서 테스트되고 있다. 함부르크항은 산업지대로 수중의 가시성이 아주 떨어지는 곳이고, 크로아티아 두보르니크는 관광객이 많이 오는 깨끗한 해안으로 유명하다. 수중 로봇은 수심 20~30m 깊이까지 들어가 플라스틱의 오염 상황을 파악하고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로봇신문사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