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을 현금 대신 땅으로 준다고?..."반발 조짐" ㅣ 공공주택 4000가구 발표에…과천 집값 '뚝'...한달 새 1.7억↓


공공주택 4000가구 발표에…과천 집값 '뚝'


6월초까지 20주 연속 하락

코로나 진정되며 상승세 전환

8·4대책으로 공급 과잉 '불안'


매수세 끊기고 호가 떨어

래미안슈르 한달 새 1.7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활기를 띠던 경기 과천 부동산시장이 다시 얼어붙고 있다. 정부가 최근 '8·4 공급대책'에서 정부과천청사 부지와 유휴지에 40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을 짓기로 했기 때문이다. 공급 과잉 우려 속에 아파트 매수세가 끊기고 호가가 떨어지고 있다.


지난 4월 입주한 경기 과천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과천주공1단지 재건축·1571가구).  정연일  기자 


연이은 대책 이후 매수 문의 '뚝'

공공주택 4000가구 발표에…과천 집값 '뚝'10일 현지 중개업소에 따르면 8·4 대책 발표 이후 과천 부동산시장에서는 매수세가 크게 줄어들었다. 주요 단지의 거래가와 호가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과천 원문동 과천래미안슈르(2899가구) 전용면적 84㎡는 지난 4일 13억8000만원에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지난달 6일 거래가 15억5000만원보다 1억7000만원 낮은 가격이다. 호가도 평균 14억~15억원 수준이다. 원문동 S공인 관계자는 “거래가 가물에 콩 나듯 이뤄지는데 호가보다 5000만원가량 낮은 가격에 체결되고 있다”고 말했다.




과천지역 다른 아파트도 비슷하다. 중앙동 과천래미안에코팰리스(659가구) 전용 59㎡는 6일 12억3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지난 6월에는 비슷한 층 매물이 12억7000만원에 팔렸다. 4월 17억5000만원에 거래됐던 별양동 래미안과천센트럴스위트(543가구) 전용 84㎡는 호가가 평균 17억원 선이다.


과천 아파트 매매가는 6월 초까지 20주 연속 하락(한국감정원 기준)하는 등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이후 코로나19 상황이 조금 안정되면서 6월 중순부터는 상승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정부의 잇단 대책 발표로 시장 분위기가 다시 식기 시작했다. 과천에 대규모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방안까지 나오면서 분위기가 급랭하고 있다. 중앙동 H공인 대표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거래도 많이 이뤄졌지만 이달 며칠 사이 거래가 종적을 감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매매·전세 공급 과잉 우려도

과천 중개업계에서는 정부 계획대로 정부과천청사 부지 등에 40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이 들어서면 자칫 공급 과잉 문제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인근에서 건설 중이거나 예정된 신규 아파트 단지가 많기 때문이다.




정부과천청사 일대는 공사장이 적지 않다. 맞은편에는 내년 1월 입주 예정인 과천위버필드(과천주공2단지·2128가구)의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인근에는 e편한세상시티과천(549실), 힐스테이트과천중앙(319실) 등 오피스텔 공사도 진행 중이다. 시 외곽에 있는 지식정보타운에서만 8422가구(12개 단지)가 공사 중이다. 2026년 과천주암 공공지원 민간임대지구에서도 5701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대규모 입주도 예정돼 있다. 오는 12월 부림동 주공7-1단지를 재건축하는 과천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1317가구)이 입주한다. 내년 1월 과천위버필드, 11월에는 과천자이(과천주공6단지·2099가구)가 준공될 예정이다. 여러 단지의 입주 시기가 겹치면서 전세시장에 물량 부담이 상존한다는 얘기다.


부동산업계에서는 교통, 인프라 등을 확충하는 방안이 먼저 제시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과천은 그동안 교통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원문동 거주민 A씨는 “지금도 출퇴근 시간만 되면 과천대로가 주차장으로 변한다”며 “교통 인프라 확충이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턱대고 아파트 물량만 늘면 교통 대란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조세일보] 한경닷컴 제공




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 현금 대신 땅?…“재산권 침해” 반발 조짐


공전협, 11일 감사원에 공익감사 청구 방침


    정부가 최소 20조원에 달하는 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현금 대신 토지로 보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어 향후 추진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10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자체 등에 따르면 정부는 3기 신도시에 대한 본격적인 토지보상 작업을 앞두고 보상금 지급방법으로 현금보상 뿐 아니라 대토보상, 채권보상 등을 검토하고 있다.


경기 하남교산신도시가 들어설 천현동, 교산동, 춘공동 일대의 지난 3월 17일 모습. /장련성 기자/조선일보

edited by kcontents


대토보상이란 보상금을 현금이 아닌 개발된 토지로 보상하는 방식을 말한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3기 신도시 5곳에 대한 토지보상금이 20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부동산개발정보 플랫폼 지존은 3기 신도시 개발로 풀릴 토지보상금 규모를 약 21조원으로 추산했다.




이 같은 막대한 자금이 풀리면 유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대거 유입돼 서울 등 수도권 집값 상승을 자극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현금보상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현금보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대토보상, 채권보상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정부 방침이 알려지자 해당 지역 토지 주인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공공주택지구 전국연대 대책협의회(공전협)는 대토보상 방안에 반발해 오는 11일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공전협 측은 “사업시행사가 토지보상법을 위반해 대토보상을 실시하는 것은 피수용자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사업시행자들의 위법한 행위를 바로잡기 위해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