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공항 연계 공항철도 '서대구KTX↔의성역' 윤곽 나와 ㅣ 용산에 국내 유일 ‘공립 철도고’ 생긴다


'서대구KTX↔의성역'…통합신공항 연계 공항철도 노선 나왔다


경북도, 총 66.8km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결과 발표

통합신공항·동구미 역사 건설…단선 1조5000억, 복선 2조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연계 공항철도 노선의 밑그림이 나왔다.

경상북도가 6일 착수한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공항철도는 통합신공항 조기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회간접자본(SOC)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군위·의성군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공항철도 노선 구상도. 경북도


공항철도 노선의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통합신공항 연계 공항철도는 서대구 KTX, 통합신공항, 의성역을 잇는 66.8㎞ 전철이다.


서대구 KTX와 칠곡 지천까지 5.5㎞는 기존 경부선 철로를 활용한다. 칠곡 지천∼통합신공항∼의성역 61.3㎞ 구간은 철로를 새로 깐다.




서대구 KTX역과 중앙선 의성역은 기존에 계획된 정거장을 활용한다.

통합신공항역과 동구미역은 신규 건설이다. 신설 구간 중 34.9㎞는 터널, 3.1㎞는 교량이다.


공항철도가 완성되면 준고속열차가 평균 약 152㎞/h로 달리는 것을 가정할 경우 서대구 KTX역에서 통합신공항까지 20분 이내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한다.


공항철도를 단선으로 건설하면 사업비 약 1조5000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열차 교행이 가능한 복선으로 추진할 경우 사업비는 약 2조 원으로 나타났다.


총 승차인원은 2030년 하루 6449명, 2040년 7055명, 2045년 7364명으로 예측됐다. 2045년 기준 연간 269만 명 규모다.

이를 종합한 비용편익(B/C)은 단선의 경우 0.64, 복선은 0.82로 분석됐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공항철도 노선 구상도. 경북도




경북도는 향후 여건 변화에 따라 비용편익 수치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수도권 유입 승차인원이 늘어날 여지가 크다. 현재 서울 청량리역인 중앙선 기점에 수서역이 추가되는 등 연계 노선이 다양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상북도는 경제성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공항을 중심으로 한 연계 교통체계 가운데 철도시설은 당연히 우선 도입돼야 한다는 견해다.

이는 대량 수송이 가능하고 시간을 정확히 준수할 수 있는 철도의 장점이 크기 때문이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이번에 도출된 결과는 경북도가 의뢰한 사전타당성 조사로서 대정부 건의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향후 정부 차원에서 정밀조사를 통해 노선과 사업비, 승차 인원 등을 정확히 분석하게 될 것”이라며 “연말에 확정될 정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공항철도를 포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용산에 국내 유일 ‘공립 철도고’ 생긴다

현재 용산공고 재구조화 거쳐 내년부터 전국서 신입생 모집

서울 용산구 내 특성화고인 용산공업고등학교가 ‘서울철도고등학교’(가칭)로 탈바꿈한다. 이로써 용산구에 국내 유일의 공립 철도고등학교가 생긴다.


용산구는 용산공고가 교육부 주관 ‘2020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대상에 최종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재구조화 절차에 따라 용산공고 기계과는 ‘철도운전기계과’, 전기과는 ‘철도전기신호과’, 전자통신과는 ‘철도전자통신과’, 건축토목과는 ‘철도건설과’로 각각 바뀐다.

용산공업고등학교/캠퍼스 잡앤조이
edited by kcontents

용산공고는 서울시교육청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에 서울철도고로 간판을 바꿔 단다.

앞서 용산구는 지난 5일 용산공고와 상호 협력체계 구축 및 지역교육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용산공고가 서울철도고로 개편된다는 사실을 주민들에게 적극 홍보하기로 했다. 향후 학교 운영도 지원한다.

철도운전기계과는 내년에, 나머지 과는 2022년부터 신입생을 모집하며 전국에서 응시할 수 있다. 서울철도교는 신입생의 일정 비율을 용산구민 자녀 중에서 우선 선발하기로 했다. 오는 10~11월 4회에 걸쳐 입학설명회도 연다.



용산공고는 철도 종사원 양성기구인 ‘철도이원양성소’로 1905년 설립된 이후 1919년 경성철도학교, 1951년 교통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꿔왔다. 학교 이름이 지금의 용산공고가 된 시점은 1963년이다. 1967년 용산공고에서 철도고가 분리돼 나왔으나 철도고는 19년 만인 1986년 폐교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향후 남북철도가 연결되면 대규모 전문기술 인력이 필요해진다”며 “한국 철도의 본산이자 대륙철도의 출발지인 용산이 철도고와 함께 실용인재 배출의 요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산공고는 인근에 서울역, 용산역 등 주요 역사가 있는 만큼 서울철도고로 개편한 후 현장 중심 교육을 활발히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함께 철도 관련 기관·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산학협력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경향신문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