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8곳 주거재생 선도·시범사업 연내 마무리


"해방촌·성수·신촌 풍경 바뀌었다" 市, '주거재생 선도시범사업' 연내 마무리


   서울시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8곳의 주거재생 선도·시범사업이 연내 마무리된다. 전면철거 대신 고쳐서 다시 쓰는 '서울형 도시재생'의 시작을 알린 곳들이다. 8개 지역은 ▲창신·숭인 ▲해방촌 ▲가리봉(선도사업) ▲성수 ▲신촌 ▲장위 ▲암사 ▲상도(시범사업) 등이다.


서울시는 이들 8곳 192개 사업 가운데 82.3%인 158개 사업이 완료됐다고 12일 밝혔다. 나머지 34개 사업도 올 연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 중이다. 앵커(거점)시설 설치, 주거환경 개선, 산업생태계 보존·활성화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 5년 간 아이돌봄, 마을카페, 도서관, 운동시설, 경로당 등 20개 앵커시설이 문을 열었다. 골목길과 계단, 하수도 등 노후 도시기반시설을 정비·확충해 주민 생활 편의도 개선됐다. 서대문구 신촌동 골목길에선 지난 4월 가파르고 협소한 계단이 사라지고 에스컬레이터가 생겼다.




개별 집수리와 골목길 정비를 병행하는 소규모 도시재생인 '가꿈주택' 사업은 1호(장위동)가 탄생한 이후 지난해까지 4년간 8개 지역에서 200건이 추진됐다. 골목길을 사이에 둔 집집마다 담장을 허물거나 낮춰 골목 공동체가 되살아났다. 넓어진 골목길엔 벤치와 조경을 설치하고 바닥포장, 바닥등 설치, 노후 하수관 개량 등이 이뤄졌다.



전국 1호 도시재생기업(CRC)인 '창신숭인 도시재생협동조합'을 시작으로 해방촌, 암사, 상도 등 4개 지역에 8개 도시재생기업이 문을 열었다. 해방촌과 성수동에서는 2016년과 2018년 각각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방지를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해 지속가능한 지역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는 마중물 사업 종료 이후에도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후속 관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골목길 재생, 가꿈주택 사업 등을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로, 공용주차장, 하수도 같은 기반시설 정비도 병행한다. 지역자생의 필수요소인 도시재생기업도 기존 보조금 지원을 넘어 지역별·기업별 상황과 역량을 고려해 단계별(발굴-육성-지원-관리) 관리체계를 도입하고 법률·세무·회계 등 전문가 지원도 시작한다.



1단계 주거재생사업은 4개 분야에 역점을 두고 추진됐다. 4개 분야는 정주여건 개선(삶터 재생), 지역산업 보존·활성화(일터 재생), 역사·문화 자산의 지역 자원화(지역특화 재생), 지속가능한 주민주도 자생 기반 마련(공동체 재생)이다.




도시기반시설 정비와 마을 유휴공간 등을 활용한 커뮤니티 시설 확충으로 정주여건이 개선됐다. 노후 골목길과 계단난간을 정비하고 어두운 골목길엔 CCTV와 비상벨, 안심이 장치, 태양광 조명등 등을 설치해 범죄예방환경을 마련했다. 주민공동이용시설 조성 등 기반시설도 정비·확충했다. 오랫동안 지역경제를 이끌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노후·쇠퇴해가는 지역산업의 보존과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산업재생사업도 추진했다. 각 지역이 간직한 역사·문화자산을 자원화하는 '지역특화재생'을 통해 무분별한 개발로 사라질 뻔한 마을자산을 보존하고 도시재생으로 재조명해 지역의 경쟁력 있는 자원으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서울시는 재생지역마다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선도사업 선정부터 사업 추진 전반을 주민이 주축이 되는 주민주도형으로 추진했다.



서울시는 "지난 5년 간의 선도·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후속 관리대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작년부터 8개 지역에 대한 일제 현장 실태점검을 실시하고 현장의 목소리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후속 관리대책은 ▲주거환경개선 지속 추진 ▲소규모 건축,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기업 지원 강화 등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도시재생의 핵심적인 성과는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 그 자체"라며 "그동안 조성된 앵커시설들은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착되는 주민의 공간이, 도시재생기업은 지역자생의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5년 간 마중물 사업을 통해 확보한 자생력을 토대로 주민 스스로 지속가능하게 지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