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멀쩡한 회사를 왜 이렇게 만드는데..."원전업체 80% 문 닫을 날만 기다린다"


"원전업체 80%가 수주 끊겨…문 닫을 날만 기다린다"


`두산重 위기` 창원경제 르포


창원산단 생산액 25% `뚝`

4년뒤 원전매출 `0` 전망


"11억원에 산 부품 절삭기계

1년만에 2.5억에 겨우 처분"


원전협력업체 출혈 경쟁

과거 100원 받던 납품단가

이젠 30원에 수주 버티는중


탈원전에 멍든 두산重 


     12일 두산중공업 분위기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뒤숭숭했다. 두산중공업 내 원전동은 굳게 문이 닫힌 지 오래됐다. 원전동 옆 외부에 쌓아둔 신한울 3·4호기용 부품들은 벌겋게 녹슨 지 오래됐다. 두산중공업은 최근 페인트칠을 새로 하는 등 `울며 겨자먹기`로 유지보수를 하고 있으나 납품이 될지는 미지수다.


경남 창원 두산중공업 공장의 옥외 작업장에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3·4호기 증기발생기용으로 제작한 부품이 쌓여 있다. /두산중공업 제공




관련기사

[탈원전에 우한코로나까지] 두산중공업, 결국 회사 휴업 검토 중

https://conpaper.tistory.com/85192

180개 원전 부품업체들, "매일 피마르는데 무성의함에 허탈"...업종 전환할 시간 달라는 건데…”

https://conpaper.tistory.com/85190

edited by kcontents


두산중공업의 경영 위기가 협력업체들로 전이되면서 창원산단은 사실상 `빈사` 상태다. 두산중공업과 협력업체들이 위치한 창원산단 공장가동률은 정부의 탈원전이 시작되기 전인 2016년 89.7%에 달했으나 지난해 9월 말 기준 73.2%로 크게 낮아졌다. 특히 원전 임가공업체 대부분이 속하는 50인 미만 사업장은 가동률은 60%대 초반에 불과했다. 한 원전 임가공업체 대표는 "원전 물량이 없어지면서 뭐든지 일감만 있으면 손해를 보면서라도 하려고 한다"며 "탈원전 정책 전에 가공단가가 100원이었다면 지금은 30원밖에 하지 않지만 그나마 기계를 돌릴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말했다.


최근 들어 경기 악화세는 더 가팔라지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창원산단 생산액은 지난해 3분기 9조3612억원으로, 전년 동기(12조4230억원) 대비 24.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출액은 38억9600만달러에서 22억5200만달러로 42.2% 급락했고, 가동업체 수도 2567개에서 2447개로 줄었다. 문제는 탈원전으로 인한 충격파가 올해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라는 점이다. 신규 수주량 변동에 따라 2~3년의 시간차를 두고 두산중공업 실적이 변동하기 때문이다. 신규 수주가 줄어든 후 2~3년이 지나면 실적이 추락하고, 수주량이 늘면 비슷한 기간이 흐른 뒤 실적도 반등한다. 2012년 신규 수주 실적이 반토막난 지 2년이 2014년부터 실적이 추락해 이듬해 적자를 기록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발전소 건설을 수주했다고 가정하면 건설 기간 어느 정도 짓고 난 다음 지은 부분만큼 중간중간 돈을 받는다"며 "이 같은 이유로 수주 시점과 돈이 들어오는 시점이 차이가 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은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한 2017년, 극심한 수주 부진에 시달렸다. 신규 수주가 5조510억원에 그치며 전년(9조534억원) 대비 44.2% 급감했다. 과거 사례를 감안하면, 올해 수주 부진의 여파가 닥칠 가능성이 높다. 2018년과 2019년에도 수주 부진이 이어진 까닭에 후폭풍이 수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높다.


심지어 4년 뒤 두산중공업의 국내 원전 매출이 `제로`가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윤한홍 미래통합당 의원실에 따르면 문재인정부 출범 전 1조5000억원대에 달하던 국내 원전사업 매출은 지난해 6500억원에 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재인정부 출범 직후 신한울 3·4호기 공사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탓이다. 윤 의원실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의 국내 원전사업 매출은 2017년부터 급격히 꺾였다. 2016년 1조5300억원에서 2017년 1조2000억원, 2018년 8500억원을 기록했고, 탈원전 정책 기조가 바뀌지 않을 경우 올해 3000억원, 2021년 2000억원, 2022년 1500억원, 2023년 700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2024년에는 제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서는 이처럼 `예정된 파국`을 막을 길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는 두산중공업과 관련해 "원전에 대해 새로운 지원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 산업부 관계자는 "풍력과 화력 발전에서 경쟁력을 높히는 방법을 고민 중"이라면서 "원전은 기발표했던 내용들을 성실하게 이행하는 수준일 뿐 새로운 내용을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산업부가 준비하는 두산중공업 주요 회생 지원책은 가스터빈과 풍력터빈 실증 기간 단축이다.


머니투데이



edited by kcontents


전문가들은 이 같은 지원책은 본질과 먼 얘기라고 지적했다.


 주한규 서울대학교 교수는 "순이익률이 극히 낮은 화력발전이나 풍력발전으로 두산의 급한 불을 끌 수 있다는 정부 판단을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5000억원 이상 투자가 집행된 기존 원전사업 비용을 집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본질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두산중공업 경영 악화의 원인을 탈원전 정책에만 돌리기에는 무리라는 반론도 나온다. 최근 실적 부진은 탈원전 정책보다는 저유가 기조로 인한 중동발 수주 감소와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로 인한 석탄화력 신규발주 급감 탓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세계 석탄화력 신규발주는 크게 감소해 최종투자결정은 2013년 76GW에서 2018년 23GW로 줄었다.

[노현 기자 / 오찬종 기자 / 창원 = 최승균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