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00조원 AI 시장 열린다

 

 

기업 흥망성쇠 열쇠 쥔 ‘AI’… 5800조원 시장 열린다

     바야흐로 ‘뉴(new) 골드러시’의 시대가 열렸다. 1800년대 골드러시가 금광을 향한 행렬이었다면 오늘날 뉴 골드러시의 목적지는 ‘AI(인공지능)’다.

구글·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 등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을 비롯해 삼성·LG·현대차·SK 등 한국 대기업이 AI 기술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금맥을 잡기 위해 몰려들고 있다. 한편에서는 유통·식품·물류·자동차·의료·금융·예술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한 산업계가 AI 도입에 뛰어들고 있다. 각국 정부는 AI가 곧 국가 경쟁력으로 직결된다며 각종 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AI는 그 개념이 등장한 지 60년도 더 된 기술이다. 세계는 왜 이 시점에 AI에 열광하는 것일까. AI 기술 연구는 1959년 미국의 수학자 존 매카시가 처음 AI 개념을 발표한 이래 컴퓨팅 기술의 한계와 각종 오류 등으로 침체를 거듭했다. 영화나 소설은 인류를 위협하는 AI를 묘사하곤 했지만 AI의 발전 속도는 기대에 한참 못 미쳤다. 그러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의 확산으로 데이터가 축적되기 시작했고,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법칙을 찾는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기술이 등장했다. 2020년 현재 AI 기술은 유례없는 부흥기를 맞아 고도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게티이미지/fool.com

 


edited by kcontents

‘이코노미조선’은 AI가 가져올 다양한 혁신 가운데서도 ‘기업 비즈니스’에 주목했다. AI는 기업에 ‘AI 생태계’라는 거대한 시장을 열어준다. 삼성·LG·현대차·SK 등 한국의 4대 그룹은 글로벌 ICT 공룡과 기술력 경쟁을 벌이는 한편 긴밀한 파트너십으로 합종연횡하는 숨 가쁜 행보를 보인다. 비(非)IT 업계도 AI 기업으로의 전환을 잇따라 선포하고 나섰다. 이들에게 AI는 업종 간 울타리를 없애고 비즈니스 저변을 확대하는 강력한 혁신 도구다.

전통적 비즈니스를 고수하다간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한층 커졌다. 이미 AI로 물류 혁신을 일으킨 아마존은 전통적 유통 공룡 월마트의 시가총액을 넘어서며 세계 최대 소매 기업이 됐고 AI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 숙박 공유 업체 에어비앤비는 호텔 메리어트의 기업 가치를 넘어섰다. 컨설팅 기업 가트너는 AI로 파생되는 전 세계 비즈니스 가치가 올해 2조6000억달러를 넘어서고 이어 2021년에는 3조3460억달러, 2025년은 5조52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꿈꾸는 기업이라면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다.

 


기업이 어떻게 해야 AI 파고를 넘어 먼 바다로 나갈 수 있을까. ‘이코노미조선’은 AI 비즈니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사례를 들여다봤다. 글로벌 ICT 기업의 AI 전략과 한국 AI 대표주자들의 전략을 차례로 짚어보고 국내에서 AI를 비즈니스에 접목해 성공한 사례도 자세히 들여다봤다. 최근 유방암 AI 진단 기술 등으로 화제를 모은 구글 헬스 연구진과 인터뷰를 통해 AI 의료 기술 비전을 들어봤다.

fool.com/amp/investing/2020/01/24/investing-in-ai-a-beginners-guide.
edited by kcontents

AI 기술력을 책임질 인재 육성이 시급한 상황에 국내 첫 AI 대학원인 카이스트(KAIST) AI 대학원 김기응 부교수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AI 관련 학과를 증설하고 공무원 등에게 AI 교육을 의무화하는 등의 AI 인재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김 부교수는 학교 간 울타리 없는 공동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영석 EY한영 디지털 리더는 기업이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조언을 제시했다. 시행착오의 충격을 줄이는 애자일(agile) 방식의 AI를 도입하고,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하는 장기 플랜이 중요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유정 이코노미조선 기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