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공화국] 세종시 아파트 보유 다주택 장·차관 최소 1억7000만원 차익ㅣ 세종시 아파트 가격 급등 조짐


세종시 아파트 보유한 다주택 장·차관, 최소 1억7000만원 시세차익 추정


    정부의 고강도 규제책인 12.16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서 최근 청와대는 다주택자 참모진에게 6개월 이내 1채를 제외하고 처분할 것을 권고했다. 이 가운데 세종시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했던 다주택 장·차관들은 1억7000만원이 넘는 차익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양가 대비 평균 78.7% 오른 수준이다.


22일 행정안전부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관보와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7월 세종시 종촌동의 전용면적 85㎡ 아파트를 매각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약 1억7000만원 안팎의 시세차익을 거두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은 이 아파트를 2억6400만원에 분양받았다. 이 단지의 7월 거래는 3건으로 평균 거래가는 4억3433만원이었다.


세종시내 아파트 전경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세종시 도담동에 소유하고 있는 전용면적 84.96㎡ 아파트를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이 아파트를 2억800만원에 분양받았다. 지난 7일 같은 평형 18층 아파트가 3억9500만원에 거래됐는데, 같은 가격에 거래될 경우 은 위원장은 1억8700만원쯤의 시세차익을 거두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양수 해양수산부 차관의 세종시 아파트 시세는 분양가의 2배 가까이가 됐다. 김 차관은 어진동에 있는 전용면적 59.82㎡ 아파트를 2억1600만원에 분양받았다. 이 단지 실거래 최고가는 지난 9월 16일 4억2000만원(22층)이다. 김 차관의 취득 가격보다 2억400만원 비싸다.


이에 앞서 구윤철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지난해 세종시 아파트를 매각했다. 구 차관은 종촌동 84.99㎡ 아파트를 2억6875만원에 분양받아 4억원에 매각했다. 1억3124만원의 시세차익을 거둔 셈이다.


이들 고위공직자들은 모두 세종시 신규 분양 아파트 중 최대 70%를 공무원과 공공기관 종사자 등에 우선 공급하는 특별공급으로 분양받았다. 특별공급은 1순위보다 경쟁률이 낮아 당첨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세종시 특별공급 아파트가 공무원들의 투기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정부에서 집값 실컷 올려 놓을 때까지 버틸 만큼 버틴 공직자가 막대한 차익을 얻고 파는 것을 곱게 보기 어렵다"면서 "특별공급으로 불로소득을 얻었으니 이익을 국가가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을 정도로 기가 막힌 상황"이라고 했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2월 3주(12월 16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값은 0.37%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백윤미 기자 조선비즈 



12월 세종시 아파트 가격 급상승 조짐...“그동안 저평가 됐던 것’”

     세종지역의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이 상승 조짐이 심상치 않다. 

최근 1년간 세종시 아파트 전세·매매가 지수 및 지수 변동률 추이 (이미지=유정상 기자)

위 그래프를 보면 세종시의 아파트 ▲매매가 지수는 9월 이후 지난 11월까지 보합세를 이어갔고 ▲전세가 지수는 9월 이후 11월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그러나 12월에 접어들며 세종시 아파트 시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세종시 지역 아파트의 ▲매매가 지수 변동률은 12월 1주부터 3주까지 0.1%→0.19%→0.37%로 꾸준히 상승하며 상승폭도 확대됐고 ▲전세가 지수 변동률도 0.29%→0.72%→0.90%로 급상승하며 상승폭도 크게 확대됐다. 

특히 이번 12월 3주에는 매매·전세가 상승폭 모두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전세가 상승폭은 2위인 대전(+0.20%)을 0.70% 차이로 크게 따돌렸다. 

세종시 소재 한 공인중개사는 “최근 인구 유입이 증가하면서 시민들 사이에서 ‘못 보던 이가 많이 늘었다’는 이야기가 돈다. 이에 따라 아파트 가격도 함께 뛸 것이라는 기대감은 이미 현지에서는 공공연히 돌고 있던 이야기”라며 “당분간은 이 상승세가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의견을 말했다. 



덧붙여 “요즘에는 빗발치는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문의가 꾸준히 오긴 하는데, 대놓고 ‘세종에도 하나 사 놓으려고 한다’고 말하는 고객이 있는 등 투기 수요도 많은 것 같다”며 “기존 등록된 매물들도 ‘상황을 지켜보다 나중에 팔겠다’며 갑자기 내려달라고 요청해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고 말했다. 

순식간에 치고 올라온 시세에 당황한 것은 전세 세입자들에게서 더 두드러진다. 세종시로 전입 온 지 갓 1년을 넘겼다는 한 신혼부부는 “주변 전세가격 시세가 불과 1년여 사이에 너무 올랐다”며 “어차피 대출 규제도 있고, 재계약까지 얼마 안 남았지만 일찌감치 재계약을 포기하고 인근 지역으로의 이사를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최근 세종시 아파트값 상승세에 관해 한국감정원 최문기 과장에게 확인해보니 “세종시의 집값 상승세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2가지를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 2가지는 ▲그 동안 대전 대비 저평가 됐던 세종 ▲세종이 신규입주 물량들을 소화해내는 점이다.

최 과장은 “예전에는 세종에서 대전으로 눈을 돌렸지만, 최근 대전 시장이 과열되며 피로감을 느껴 역으로 대전에서 세종으로 눈길을 돌리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를 세종이 소화해내고 있는 것”이라며 “그동안 세종이 상대적으로 대전에 비해 저평가 됐었던 탓에 기저효과로 최근 통계들이 더 빠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도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19년 10월 (자료원=통계청)



실제로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2019년 10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내 ‘시도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19년 10월’을 보면 세종시가 순유입률 1위를 차지하며 2012년 1월부터 계속 순유입세를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순유출률 1위를 기록한 대전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최근 세종지역 아파트 값은 매매가보다 전세가 상승폭이 훨씬 가파르다. 이에 대해 최 과장은 “원래 세종지역은 전세가가 매매가 대비 너무 낮아 그 갭이 컸다”라며 “현재 수치가 아닌 전체적으로 봐야 한다. 세종시 아파트 전세가는 그동안 워낙 저평가 돼 있었기에 가격 ‘급등’이 아닌 ‘회복’의 과정으로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종시 투기수요에 관해서는 “세종시가 예전에는 전국 단위 투자가 몰렸던 지역이었지만 지금은 규제로 인해 많이 줄고 주로 대전 분들이 세종 시장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세종시 부동산 거품설(세종시에 유입되는 인구 대부분이 순환 근무가 잦은 공무원·공기관 근무자라 결국에는 모두 꺼질 거품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세종시 유입 인구 중 많은 분들이 정부부처·공기관 근무자라 일견 그렇게 보실 수도 있겠지만, 공기관 근무자들이 아닌 공무원들은 근무 기간이 그리 짧지는 않아 그것만 가지고 거품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답했다. 

덧붙여 “고속도로, 대전 지하철 연장에 대한 기대감 등의 요소들로 세종 지역 아파트 시장의 향후 전망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이 어떤 식으로 바뀔지는 모르겠지만, 세종이 규제만 풀린다면 34평 기준 9억 선은 족히 갈 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유정상 기자 yootop@nspna.com  NSP통신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