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계약 갈아타게 하는 행위' 근절된다/ "보험사기, AI가 잡는다"


'보험 갈아타기 꼼짝마'…신·구계약 비교시스템 구축된다


새 상품 가입 때 기존 유사 상품 가입여부 확인해 비교안내


    설계사들이 더 좋은 보험상품이라고 고객을 꼬드겨 보험 계약을 갈아타게 하는 행위가 원천적으로 예방되는 방안이 마련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손해보험협회는 한국신용정보원에 집적된 보험계약 정보를 활용해 보험계약을 비교·안내하는 시스템을 구축, 조만간 운영에 들어간다.


고객이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사가 고객의 개인정보 동의를 받아 신용정보원에 신규 계약과 유사한 상품에 가입했는지를 조회하는 시스템이다.


머니투데이

edited by kcontents


조회 기준일 현재 가입된 상품뿐 아니라 그 이전 6개월 내 소멸한 계약도 확인 대상이다.


유사 상품 가입이 조회되면 보험사는 새 보험 상품과 기존 상품의 내용을 비교한 '비교안내확인서'를 고객에게 배부한다.




확인서에는 신구 상품의 보험료, 보험기간, 보험료 납입기간, 보험가입금액, 주요 보장내용, 환급금액, 공시이율 등이 포함된다.


기존 계약을 해지한 후 6개월 이내 신계약을 체결하거나 신계약을 체결하고 6개월 내 기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를 이른바 '승환계약'이라고 한다.


보험업법에서는 승환계약인 경우 보험사가 고객에게 신계약과 기존 계약을 비교·안내하라고 규정하고 있다.


기존에 납입한 보험료가 무용지물이 돼 이런 승환계약이 고객에게 불리하므로 고객들에게 승환계약에 정말 가입할 것인지 재고할 기회를 주자는 취지다.


'보험 갈아타기 꼼짝마'…신·구계약 비교시스템 구축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기존 계약과의 비교·안내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기존 보험에 계약했는지 여부를 설계사가 고객에게 구두로 질문하고 고객은 기억에 의존해 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다.


주로 설계사들이 다른 회사로 이직할 때 새로운 직장에서 실적을 내기 위해 자신이 관리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이런 승환계약을 일으키는 일이 잦다.




손해보험협회가 지난해 세 차례에 걸쳐 이직 설계사의 신규계약 2만4천422건을 점검한 결과 이 중 22.6%에 달하는 5천518건이 부당 승환계약인 것으로 드러났다.


부당 승환계약인 경우 해당 보험사에 계약 건당 100만원, 설계사 1인당 최대 3천만의 제재금이 부과된다.

금융당국은 1천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하고 2회 이상 과태료 처분을 받은 설계사는 등록을 취소한다.


대대적인 점검에도 불구하고 승환계약은 여전하다는 게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업계에서는 신계약의 절반가량을 승환계약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손해보험업계에서는 전체 승환계약의 90% 이상이 독립보험대리점(GA)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보험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해 이런 보험 갈아타기가 어쩔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다.


지난해 보험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가구당 보험 가입률은 전체 98.4%이고, 개인별 보험 가입률은 96.7%에 달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설계사 입장에서는 신규계약이 수수료가 제일 커 좀 더 좋은 보장이라고 포장해서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려고 하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그동안 납입한 보험료가 날아가서 손해를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한국경제




"보험사기, AI가 잡는다"


800여개 변수 발굴해 시스템 적용 … 시스템 발전 우려 시선도

심사자 독자 판단보다 예측률 더 높아져


무분별한 보험사기 막는 수단될 수 있을까? 

책임소재 불분명문제도 있어


보험업계가 4차 산업혁명의 속도에 말 맞추고자 인공지능(AI)과 관련한 서비스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최근엔 인공지능으로 보험사기를 잡는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보험사기 적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지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800여개 변수 발굴해 시스템 적용 … 심사자 독자 판단보다 예측률 더 높아져

26일 ABL생명은 자사 보험사기 예측시스템에 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해 보험사기 예방율 제고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는 점점 지능화 되고 고도화 되는 보험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ABL생명이 지난 1년간 자체적으로 개발해 인공지능이 탑재 된 보험사기 예측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ABL생명과 계약 후 사고 경과기간, 납입횟수, 청구금액, 특약가입비율, 부담보계약여부 등 보험사기와 관련 있는 800여개 변수를 발굴해 시스템에 적용한 것으로 머신러닝기법이 도입해 정확성을 한층 더 높였다는 평가다.


medium.com

edited by kcontents


이를 통해 예측 결과 위험도가 높은 보험금 청구 건은 심사자에게 우선적으로 전달되고 심사자가 지급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실제 보통 심사자가 독자적으로 판단한 경우 보다 1.8배 높은 보험사기 예측률을 나타내면서 가치는 커 보인다.


적용 대상은 AI시스템이 적용 된 곳은 보험금 청구가 많고 손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손보험금에 한해 우선적으로 적용됐으며 점차 모든 사고보험금으로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왕루이 ABL생명 CIO&CDO실 부사장은 “이번 인공지능 도입으로 보험금 심사 업무 효율이 증가하고 조사 정확도가 높아져 보험사기로 인해 선의의 고객들이 피해를 입는 사례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 한다”며 “인공지능이 회사 핵심 경쟁력인 디지털 역량 강화에 중추 역할을 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무분별한 보험사기 막는 수단될 수 있을까? … 책임소재 불분명문제도 있어

한편 인공지능이 보험업계 전 분야 가리지 않고 도입되면서 우려가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개 인공지능이 말하는 진단이 진짜 정답이라고 확신을 내릴 수 있냐는 것이다.


이는 인공지능도 정확히는 인간이 학습하는 방향대로 답을 내놓기에 이 부분에서 보험사기 판단이 얼마나 공정성 있게 내려질 수 있느냐가 주요한 관건이 되는 부분이다.


보험사기 판정은 보험 소비자도 보험사도 매우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최근 암 보험 미지급 사태에선 암 보험금 미지급 피해자가 보험사기 가해자로 둔갑하는 일도 일어나기도 했다. 이 문제를 배제할 수 있느냐는 사실 별개 일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현재 기술력으로 단순히 심사자의 참고자료로만 활용될 수 있으나 인공지능 발달이 가속화 될수록 관련 인력을 줄이게 되고 그럴 경우 인공지능의 판단이 절대적인 위치로 자리하게 된다.


또 다른 문제는 학습화 된 AI는 정형화 된 보험사기를 잡아내는 데 탁월할지는 몰라도 진화되는 보험사기 수법을 정말 가려낼 지도 미지수다.




이에 보험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심사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일 뿐 우려한대로 되진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보험금 누수를 보다 빨리 알아차리게 돼서 보험료 인상을 막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소비자 단체 관계자는 “보험사기를 잡아 누수 되는 보험금을 막고 나머지 보험 가입자들의 피해를 막을 수 있지만 AI의 판단을 과신해 보험금을 받아야 할 소비자를 가해자로 몰게 될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 해질 수 있다”며 “인공지능에 대한 과도기적인 단계인 만큼 신중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인성 기자  ft20@fetimes.co.kr 금융경제신문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