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혼자 살면 왜 건강에 나쁠까?/ 중년의 건강, 정기검진으로 관리하자

중년을 위협하는 위험요인… 혼자 살면 왜 건강에 나쁠까?


[중년 건강을 위해 뱃살부터 빼야 한다]


      중년이 되면 성인병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고혈압, 당뇨병 등 각종 성인병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 환자도 늘고 있다. 뱃살(복부비만)이 가장 큰 위험요인 중의 하나다. 내장지방이 여러 물질들을 분비하면서 고혈압, 고혈당을 초래해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인다.



건강한 생활

edited by kcontents




건강수명의 분기점이라 할 수 있는 중년 건강은 생활 형태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혼자 사는 중년들은 가족과 함께 사는 중년들에 비해 건강이 나쁜 경우가 많다.  혼자 사는 1인가구의 경우 흡연율도 상대적으로 높다. 집안에서 마음대로 담배를 피울 수 있기 때문이다.  간접흡연 피해를 우려하는 가족들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금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혼자 사는 중년 남녀들은 다인가구에 사는 동년배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다.  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심경원 교수팀이 성인 9423명을 대상으로 가구 구성원별 건강 상태를 분석한 결과, 1인가구 중년층(40∼59세) 남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다인가구 중년층 남성의 1.8배로 나타났다(대한가정의학회지).


연구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4~2015년) 참여자들로 1인가구의 비율은 남성 7.2%, 여성 10.5%였다. 1인가구에 해당하는 사람의 소득-교육 수준은 다인가구에 속한 사람보다 낮았다.  특히 1인가구 노년(60세 이상) 여성의 음주와 흡연 가능성은 다인가구의 각각 1.7배, 3.2배였다.



 

1인가구 중년층(40∼59세)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 다인가구 중년층 여성의 1.9배로 나타났다.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허리둘레-공복혈당-혈중 중성지방-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더 높았다.


심경원 교수는 “금연은 가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1인가구는 간접흡연 피해를 받는 가족 구성원이 없어 흡연율도 상대적으로 높다”면서 “1인가구는 친구 또는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음주율도 높다”고 했다.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는 체지방 특히 내장지방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식사 조절 및 운동이 필요하다. 운동은 일주일에 5회 속보, 자전거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이 좋다. 중년 이후 근육이 감소하는 것을 감안해 계단 오르기, 스쿼트 등 근력 운동도 병행하는 것이 좋다. 근력 운동은 고혈압, 심뇌혈관 질황이 있다면 의사와 상담한 후 해야 한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코메디닷컴




중년의 건강, 정기검진으로 관리하자


     해를 거듭할수록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있지만 한 사람이 태어나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기간인 ‘건강수명’은 그만큼 짧아지면서 건강수명을 높이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7세(여 85.7·남 79.7세)로, 건강수명 65세(여 65.2·남 64.7세)로 나타났다. 이것은 약 17년의 동안 질병을 앓고, 병상에서 누워 지내는 시간이 그만큼 길어진다는 것이다.


흔히 요즘은 100세 시대라는 말을 넘어 120세 시대라는 말을 들어도 어색하지 않은 시대이다. 그러나 젊어서 은퇴까지 평생을 일하고, 은퇴해 노년의 여유로운 삶을 누리기보다 병상에 누워 지내는 현실은 씁쓸하지 않을 수 없다.


하이닥

edited by kcontents


우리의 몸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노화가 진행되고, 신체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사람들은 불규칙하고 기름진 식습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중년 이후부터 만성질환이나 암과 같은 각종 질병에 노출되게 된다. 그 때문에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위해 4~50대 중년부터는 내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개선법을 실천하기 위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가 암 검진 정책이 잘 시행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암환자 중 상당수가 건강검진을 통해 암을 발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증상이 나타나 암을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암의 증상이 발현돼서 검사를 받았을 때 대부분 치료가 어려운 경우일 확률이 높으므로, 암의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정기검진은 내 몸에 대한 보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해 필수인 건강검진 주기는 어떻게 잡아야 할까? 국가에서 시행하는 암 검진 주기인 2년이 가장 적정한 건강검진 주기일까? 질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하므로 검진의 주기를 잘 결정해야 한다. 가령 6개월 사이에도 암은 급속도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검진의 주기에 관해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사항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첫 검진을 언제 시행할 것인가? 둘째, 정상 소견이라면 얼마 후에 다시 검사할 것인가?




예를 들어 위내시경 검사는 만 40세 이상에서 2년마다 실시하고 대장내시경 검사는 만 50세 이상에서 정상으로 나왔을 때 5년마다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주기가 모든 사람에게 다 맞는 것은 아니다. 나의 유전적인 요인과 생활습관 등을 미루어 봤을 때 위험 요인이 큰 사람은 더 짧은 주기로 관찰해야 한다.


건강검진은 단 한 번에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매년 또는 그 이상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그래야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추이를 관찰할 수 있으며, 나중에 질병에 걸렸을 때 과거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건강검진은 단지 질병이 생겼을 경우 치료를 위한 조기 진단만이 목적이 아니라, 검진 결과가 이전 검사와 달리 이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나 현재 질병이 없더라도 중요한 원인이 되는 흡연, 비만, 신체활동 부족 등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예방하는데 의의가 있다.


우리 모두 건강 120세를 실천하기 위해 늦어도 만 40세부터는 정기검진을 받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홍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 인천원장

경기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