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건설업 제조업에서 일자리 11만개 줄었다

고령·공공만 급증


경기 민감한 건설업, ‘양질’인 제조업 일자리 감소

30~40대 일자리 감소…공공 보건·복지는 증가


    지난해 4분기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일자리 11만개가 줄었다. 


정부 재정이 투입되는 보건·사회복지 일자리는 11만개가 늘었다. 경기침체로 민간 고용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공공부문이 일자리를 떠받치고 있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작년 11월말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849만4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35만9000개가 늘었다.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은 4대 사회보험 가입자료 등 행정자료를 토대로 통계청이 지난 2017년 1분기부터 분기별로 집계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까지는 전년 동기 대비 일자리 증가세가 감소하는 추세였는데 4분기 들어 증가폭이 다시 커졌다.




일자리 증가폭이 커진 이유는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 확대 영향으로 보건·사회복지(11만4000개) 일자리가 크게 늘어난 게 주된 요인이었다. 도·소매업(9만2000개) 일자리 증가도 두드러졌는데 이 역시 정부 정책 영향이 컸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도·소매업 일자리 증가는 정부의 일자리 안정자금 확대와 초단시간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 요건 완화와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주15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자도 석달 이상 일하면 고용보험에 자동 가입되도록 제도를 완화했다. 기존에 일하고 있던 취업자라도 일자리 안정자금을 받기 위해 고용보험에 가입하거나 초단시간 근로자로서 자동 가입된 이들은 통계에 일자리 증가분으로 잡히게 되는 것이다. 이 영향으로 숙박음식업 일자리도 3만8000개가 늘었다.





반면 경기에 민감한 건설업 일자리는 9만6000개나 줄었다. 전체 일자리에서 22.8%를 차지해 비중이 가장 크며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도 1만2000개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 중분류를 보면 자동차 일자리가 9000개 줄었고 전자통신과 기타 운송장비도 각 5000개씩 감소했다. 건설업과 제조업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사업·임대 일자리는 3만8000개가 줄었다. 박 과장은 "경기 및 기업 구조조정 여파로 건설업과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여파는 연령대별 일자리 상황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통계청은 20대 이하부터 60대 이상까지 총 5개 연령대로 나눠 통계를 작성하고 있는데, 한창 경제활동을 해야 할 40대만 일자리가 2만6000개 줄었다. 마찬가지로 중추 역할을 하는 30대 일자리는 증가하긴 했지만 1만2000개에 그쳐 그 폭이 작았다. 반면 50대는 16만6000개, 60대 이상은 15만1000개가 각각 늘었다. 20대 이하는 5만6000개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일자리는 7만5000개가 늘었고, 여자 일자리는 28만3000개 급증했다. 


박 과장은 "40대 일자리는 건설업에서만 4만3000개가 줄었고 제조업은 2만3000개, 사업임대 7000개가 줄어 일자리가 주로 감소하는 업종 영향에 그대로 노출됐다"면서 "50대는 도소매업, 60대 이상은 보건·사회복지 부문의 여성 일자리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은 행정자료를 토대로 집계가 이뤄진다. 정확성은 높지만, 사회보험 등에 가입하지 않은 취약계층 등의 일자리 사정은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고용동향 통계는 설문을 기반으로 해 사회보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자를 조사하고 있다.

세종=김수현 기자 조선비즈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