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과 풍수/도시의 지하

건축과 풍수


    건축설계 의뢰가 들어오면 기본설계를 하기 전 대지를 방문해 분석한다. 필자의 경우는 제일 먼저 향을 본다. 두 번째로는 대지의 높낮이를 확인하고, 세 번째로는 주변을 향한 조망을 확인한다. 이 외에 소음도 체크 하고 전신주, 가로등의 위치, 주변 건물이 있을 경우는 서로 간의 간섭여부도 확인을 한다. 대지분석이 끝나면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계를 진행한다. 단독주택의 경우 먼저 향이 잘 드는 남쪽으로 마당을 두고 창을 크게 내어 빛을 최대한 끌어들일 수 있도록 계획을 하고 북쪽으로는 화장실이나 창고 등 서비스시설을 배치해 북쪽의 찬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한다. 



물론 창을 낼 때는 햇빛뿐만 아니라 조망과 프라이버시도 함께 고려한다. 창의 적절한 크기, 위치, 모양, 방향을 결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어려운 일이다. 이에 덧붙여 시간을 많이 할애해 집으로 들어가는 주 출입구의 위치와 방식을 고민한다. 대문과 현관의 위치에 따라 집 내부의 공간구성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요즘 조성된 주택단지들은 담장을 낮은 생울타리로 설치하도록 규정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택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런 경우는 대문이 따로 없이 현관문이 대문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계획 시에 충분한 고민과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이처럼 건물 한 채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대지 상황을 고려하여야 한다. 




물론 건축주의 요구사항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최근에 필자가 설계한 단독주택을 건축주가 풍수지리 전문가인 지인에게 최종 단계에서 자문을 구한적이 있다. 다행이도 풍수지리학적으로 지적을 받은 부분이 없었다. 그 당시 풍수지리 전문가가 설명했던 부분들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계획 시 분석한 대지 조건의 장단점을 잘 반영하고 보완하려 했던 의도와 크게 벗어나지 않고 일맥상통했던 것 같다.


풍수지리라는 학문도 조상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경험한 결과가 축적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산이 많고 농경지가 적은 국토의 지리적 특성상 산자락에 집을 앉히고 평지에는 농경지를 확보하려 했을 것이다. 산자락이면 당연히 북쪽의 찬 바람을 막고 남향을 취하기 위해 산을 집의 북쪽에 두려 했을 것이고 집 앞에 물이 흐르면 여러 가지로 물을 이용하기에 편리했을 것이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배산임수이다. 풍수지리도 초기에는 이처럼 땅을 잘 읽어내어 그것을 실생활에 유리하게 이용하는 것에서 시작했음이 틀림없다. 그 후에 여기에 인간의 길흉화복이 연결되어 지금에 이른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대지 조건을 잘 반영한 건축물은 풍수지리에 기본적으로 잘 맞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감히 해 본다. 햇빛 잘 들어 춥지 않고 통풍 잘되고 소음 없는 전망 좋은 집에 살고 싶어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소망일 수 밖에 없고, 바라던 좋은 환경에서 살면 건강하고 화목한 삶에 가까이 갈 확률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클거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조한묵 대전시건축사회 부회장·건축사사무소 YEHA 대표 건축사 

대전일보사




도시의 지하

조진만 건축가


 


    건축역사상 인류 태고의 주거공간은 동굴이었다. 비바람을 막고 음식을 저장하고 불을 피울 수 있는 동굴 속 공간은 쉴 새 없이 변화하는 외부세계와 구분되는 정적인 공간이다. 그곳에서 비로소 인류의 문명은 진화하였고 또한 문명의 발전에 상응하여 지하공간은 변화되었다. 기술의 발달로 땅속 바위를 파내는 일의 어려움이 해소된 뒤에도 한동안 지하공간은 소음이 큰 발전소나 기계 시설을 배치하는 장소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도시 생활의 다양한 복합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도시의 인구 집중에 따른 가용 토지 부족, 공기오염이나 자외선·방사능·전자파·지구온난화의 문제 등으로 인해 부각된 지하공간의 장점이 자리하고 있다. 지상에 비해 지하공간은 항온·항습성, 방음성, 내진성과 같은 에너지 절약 차원과 지상의 자연과 역사적 경관의 보존 등 여러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지하철, 버스터미널, 주변 건물 등과 바로 연결되는 이동성도 장점이다. 과밀화된 도시에서 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상의 밀도 증가를 억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핀란드의 경우 템펠리아우키오 지하교회(왼쪽 사진), 레트레티의 지하 콘서트홀(오른쪽)은 건축미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음향효과 면에서도 세계적 관광명소이다. 기네스북에도 등재된 캐나다 토론토의 거대 지하 보행로 ‘패스’는 매년 할인 행사를 통해 전 세계 관광객들을 끌어모은다. 몬트리올의 ‘언더그라운드 시티’는 여의도 면적의 1.5배로 세계에서 가장 큰 지하도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제는 땅속에 지하공원이 만들어지고 있다. 뉴욕의 ‘로라인(Lowline)’이라는 이름의 이 공원은 축구장 두 배에 달하는 넓이로 기존 전차터미널 지하공간에 국내 업체의 자연 채광기술을 활용해 식물을 자라게 하는 실험적인 프로젝트이다. 여기서 다양한 식물의 재배를 시험하고 그 농작물을 조리하여 파티를 하는 단계라고 하니, 지하도시의 새로운 가능성은 인류의 상상력과 기술적 발전의 조합으로 나날이 무궁무진하다.




서울도 영동대로, 세종로, 을지로 등 강남북 주요 거점에 대한 대규모 지하개발을 연이어 계획 중이다. 보행 중심의 인문도시에서 한양 도성길과 서울로, 세운상가의 입체보행로, 고가 하부 커뮤니티, 한강 접근로, 서울 둘레길에 도심 여기저기의 단절된 지하 연속보행이 함께 어우러진다면 세계 다른 도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매력적인 입체보행 도시의 가능성이 크다. 이제 도시건축 계획에서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지상과 지하의 구분은 무의미해 보이며 도시의 새로운 미래는 지하의 가능성을 간과하면 성립하지 않는다.

경향신문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