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신기술제도 도입 30년이나 됐지만 ···

건설신기술 국내에서 '핍박'


   지난 1989년 대한민국 건설산업 경쟁력을 위해 도입된 건설신기술제도가 30년째를 맞았다.


당시 건설기술 수준이 선진국 대비 60%에서 현재 90%대까지 올라섰다는 평가도 있지만, 국내에서 건설신기술이 ‘핍박’받고 있는 현실을 보면 딱히 신뢰가 가지 않는 대목이다.


얼마 전 건설기술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해외에서 국내 건설기업들의 시공 설계경쟁력이 상위 20개국 중 중간 성적으로 나타났다. 종합적 글로벌 경쟁력 12위라는 초라한 성적표의 한 부분이다.


이중 시공경쟁력 중 성장성이 14위다.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건설기술력 부족 탓이라고 한다면 확대해석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국내에서 건설신기술의 현주소를 보자.


건설신기술은 2019년 4월 현재 860여건이 지정돼, 2017년 말 현재 48,523건이 현장에 적용돼 왔다. 건수로 보면 괜찮은 수치로 보이지만 속내는 다르다.


우선, 건설업계에서 새로운 신기술을 도입하려는 의지가 없다는데 큰 문제가 있다. 일선 발주기관에서 특혜시비 민원 감사 등을 우려해 일반경쟁으로 발주, 신기술의 진입을 막고 있는 현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edited by kcontents


기존의 기술을 계속 사용하려는 현장의 습성으로 발주처의 승인과정을 얻어야 하는 복잡한 절차 때문에 신기술이 외면 받고 있다는 것이다.


발주기관들의 이러한 인식들을 바꿀 수 방법은 없을까.


통계에서 보듯이 건설신기술 당 평균 약 2.7년의 연구기간과 6.2억 원의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신기술로 지정받으면 전제조건 없이 현장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법 조항이 있으면 된다.




다행히 오는 7월부터 건설신기술 사용협약제도를 건기법으로 명시화, 시행된다고 하니 지켜 볼 일이다.


‘건설신기술 협약제도’는 기술개발자와 협약을 맺은 사용자에게도 개발자의 지위를 부여해 신기술이 적용된 공사의 입찰 및 시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천세윤 기자 건설기술 

http://www.ctman.kr/news/16755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