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시설, 선심성 사업 전락하나

원전해체시설, 선심성 사업 전락하나

지자체간 유치전 치열하자
부산·울산 경계에 설립 추진
연구소 분원은 경주에 나눠줘

    원전 해체 산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걸치는 접경지에 들어설 전망이다. 원전 해체 산업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 대체사업으로 부상하는 분야다. 하지만 원전해체연구소 후보지 경쟁을 벌였던 경북 경주에는 연구소 분원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표심을 의식한 정부의 선심성 나눠 먹기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외원전 해체모습/ziondolutioncompany
edited by kcontents

10일 울산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 해체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원전해체연구소 용지를 부산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 울주군 서생면을 걸치는 지역으로 사실상 결정했다. 총 3만6000여 ㎡ 용지에 사업비 2400억원을 투입해 2023년까지 연구소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울산과 치열한 유치 경쟁을 벌였던 경주에는 `중수로 원전해체연구 분원`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주에 위치한 월성 원전은 국내 유일의 중수로 원전이다. 산업부는 오는 15일 원전해체연구소 최종 용지와 함께 원전 해체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부산과 울산 지역에는 고리(4기), 신고리(2기) 원전이 들어서 있고, 경주에는 월성(4기), 신월성(2기) 원전이 위치해 있다. 정부의 탈원전 로드맵에 따르면 현재 25기인 국내 원전은 2020년 27기로 잠시 늘었다가 2030년에는 18개로 축소된다. 이 중 고리와 월성 원전은 노후 원전으로 중장기적으로 원전 해체의 사정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7년 6월 영구 정지된 고리1호기를 2032년까지 해체하기로 하는 등 원전 해체작업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탈원전으로 원전 산업이 붕괴 위기로 내몰린 데다 지역경제까지 파탄 위기에 처해 있는 부산·울산·경주 같은 원전 지역에서 원전 해체 산업은 유일한 대안이다. 3개 지역이 사활을 건 유치전을 벌인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민심 무마용으로 연구소를 쪼개 나눠줄 것으로 알려지면서 총선용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지역별로 연구소를 배분했지만 정작 부산·울산·경주 모두 반발하면서 또 다른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분원을 유치하는 데 그친 경주는 물론 본원을 유치하게 된 부산과 울산도 연구소가 두 지역에 걸쳐 들어서면서 정문을 어느 지역에 두느냐를 놓고 벌써부터 힘겨루기를 할 정도다. 또 경수로와 중수로 해체연구소를 따로 설립하게 되면 건립 비용이 예상했던 것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원전해체연구소가 들어서는 부산·울산 경계 지역과 분원 입지로 거론되는 경주 양남 간 직선거리는 25㎞에 불과할 정도로 가까워 중복 예산 투자 논란도 예상된다.




올해 초 연구소가 부산과 울산 간 경계에 들어설 것으로 알려지자 경주시는 "탈원전 정책의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이 경주"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경북에서는 정부의 대구·경북(TK) 홀대가 심하다는 불만도 컸다.
[울산 = 서대현 기자]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