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를까, 떨어질까?…"입주량이 가른다"/집 있는 고소득자, "집값 더 떨어진다" 전망


집값 오를까, 떨어질까?…"입주량이 가른다"


   전국 부동산 시장이 지역별로 등락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올해 집값에 영향을 미칠 아파트 입주 물량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입주량이 많은 곳일수록 집값이 내리고 반대로 입주량이 줄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일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12일 부동산114가 집계한 연도별 입주물량 현황을 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9만475가구로 직전 5년(2014~2018년) 평균인 33만4751가구보다 16.65% 증가할 전망이다.


최근 3년간 아파트 입주 물량은 지방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여왔다. 2017~2019년 연평균 입주량은 41만여 가구로 직전 10년(2007~2016년) 평균인 26만여 가구보다 55.0% 증가했다.




입주 물량이 크게 는 지역은 부동산 가격 하락세를 보였다. 입주량이 123.6% 증가한 경남을 비롯해 99.8% 증가한 강원, 89.4% 증가한 경북, 85.2% 증가한 충북 등이 대표적인 지역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경남의 아파트 값은 8.68% 떨어졌고, 강원(-4.85%)과 경북(-5.91%), 충북(-6.07%) 등도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이 하락했다.


 

9510가구의 입주가 진행 중인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단지 전경. /HDC현대산업개발 제공


반면 입주량이 1.4%밖에 늘지 않은 대구와 22% 줄어든 대전, 11.0% 증가한 광주, 9.2% 증가한 서울 등은 최근 2~3년 동안 부동산 시장 상황이 상대적으로 좋았거나 여전히 좋은 상태다. 대구의 아파트 값은 지난해 3.15% 상승했으며 대전(2.46%)과 광주(3.49%), 서울(8.03%)의 아파트 값도 크게 올랐다.


올해만 따로 떼어 놓고 봐도 역시 지역별 편차가 큰 상황이라 입주량이 집값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부동산 시장이 지역별로 다르게 움직일 가능성이 큰 것이다. 대표적으로 입주량이 크게 감소하는 곳은 대구와 대전, 전남, 충남이다.


대구의 올해 입주량은 9982가구로 직전 5년 평균인 1만7760가구보다 43.80% 감소할 전망이다. 대전의 입주량도 직전 5년 평균(6864가구)보다 43.43% 줄어든 3883가구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전남은 37.52% 줄어든 7403가구, 충남은 68.92% 줄어든 5960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대구와 대전, 전남 등은 전국적인 부동산 하락 조정 분위기에서도 최근 집값이 오른 곳이다. 충남은 부동산 가격 약세가 이어졌지만,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의 입주 물량은 직전 5년과 비교했을 때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서울의 입주 예정 물량은 4만3096가구로 직전 5년(2만208가구)보다 42.66% 많다. 서울 집값의 향방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수급상으로만 가늠해본다면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큰 셈이다.


또 입주량이 크게 느는 곳은 강원(78.55%), 광주(51.36%), 경남(49.19%), 울산(36.83%), 경기(36.67%), 전북(33.35%) 등이다. 광주와 경기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워낙 약세를 보이던 지역인데 입주물량까지 더해진 상황이 됐다. 경기는 올해 들어 약세로 돌아섰고, 광주도 최근 들어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다.


MSN.com

edited by kcontents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팀장은 "대전처럼 입주량이 적은 지역은 올해도 아파트 값이 오름세를 유지하면서 신규 분양 열기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반면 강원과 경상권 등 대표적인 물량 적체 지역은 시장 위축이 굳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기권 역시 2017년부터 입주물량이 급증한 데다 올해도 입주량이 늘어 시장에 부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팀장은 다만 서울의 경우 입주량과 큰 상관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서울의 경우 수급 요인보다 심리적인 요인이 더 큰 변수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재원 기자 조선비즈 




집 있는 고소득자, "집값 더 떨어진다" 전망


작년 9·13대책 이후 주택가격 상승 가능성 크게 낮아져


   소득이 높은 주택 보유자들은 앞으로 집값 하락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 우리은행 부동산연구포럼이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년 9·13대책을 전후해 자가-임차가구의 주택가격 전망 흐름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작년 9·13대책 이전까지는 자가가구의 주택가격 전망지수가 임차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집주인들이 임차인보다 주택가격 상승 가능성을 크게 본 것이다. 


그러나 9·13대책 발표가 예고된 2018년 8월에 이 지수가 자가가구 108, 임차가구 110을 기록하며 2014년 이후 처음으로 수치가 역전됐다. 이후 지난해 11월 임차가구가 103일 때 자가가구는 99를 기록하며 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진데 이어 올해 2월에는 자가 83, 임차 86으로 지수가 낮아졌다. 


© news1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중개업소에 내걸린 급매물 광고물의 모습.© News1 박정호 기자


지난달 기준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계의 주택가격 전망지수는 96, 100만∼200만원은 91로 평균 지수(84)를 웃돈 반면, 500만원 이상 소득자는 78로 떨어져 2013년 한은이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100만원 미만 소득자와 500만원 이상 소득자의 전망지수 격차도 지난해 8월 3포인트에 그쳤으나, 9·13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9월 13포인트로 벌어진 뒤 올해 2월에는 18포인트로 확대됐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정부의 강력한 다주택자 규제와 투기방지 대책이 자가 보유자와 고소득자에게 주로 효과를 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 공시가격 현실화 등으로 다주택자, 고가주택 보유자를 압박한 것이 지수 변화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강영관 kwan@ajunews.com 아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