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건설기술국 도약 위해 '건설산업 대규모 구조조정' 필요

 

건설관련 학과 입학정원 조정, 수급 대응

확고한 R&D영역  정립 필요

공공발주기관 대폭 줄여야 돼

 

kcontents

 

 

건설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건설산업 전반에 걸친 대규모 구조조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건설기술신문 창간 16주년 특별기획 ‘건설기술의 미래를 이야기하다'(관련기사 12-13면) 지상대담에서 중앙대학교 조윤호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수는 “건축 토목 환경 조경 도시 등 다양한 건설 관련 학과에서 배출되는 수많은 학생 수를 입학정원부터 조정해 사회가 요구하는 수만큼 공급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구조조정을 통해 대학 연구소, 기업의 연구 영역을 정확하게 확립하고, 건설업 관련 학과와 기업 정부 공공기관을 대폭 줄여 건설시장이 보다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강대국과 선진국들이 독점하고 있는 극지·우주와 같은 극한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건설기술개발로 연구분야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건설기술연구원 이태식 원장은 “우주기술은 당장의 상업성 이익을 볼 수 있는 분야는 아니나 달에 엄청난 에너지 자원이 묻혀 있어 선진국들이 앞 다투어 연구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특히 국내와는 전혀 다른 건설환경과 재료를 가진 개도국에 이러한 극한환경과 관련 연구성과와 적정기술들을 적용해 개도국들과의 실질적 건설협력을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또 “국내의 건설기준은 획일적으로 운영됨으로써 건설기술발전을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와 국내 건설업은 매년 약 4천억원이 투자되는 연구개발 성과가 반영될 수 있는 한국형 건설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조윤호 교수도 “우리의 경우 건축이나 토목은 과학이 아니고 독립된 건설분야라는 인식하에 과학계가 지원 자체를 제한하는 형편”이라며 “건설기술을 과학으로 인식하고 개발된 신기술이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신기술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공법 신기술을 적용하지 않는 관료들에게 오히려 책임을 묻는 문화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덧붙였다.

 

지상대담에서, 국토교통부 정경훈 기술안전정책관은 “아직까지 우리의 건설기술 수준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고 밝히고 “건설기술의 도약을 이루고 이를 통해 건설산업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며 또 그렇게 되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현대건설연구개발본부 권오혁 본부장은 향후 건설정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될 것으로 전망하고 “IT기술과 융합한 인텔리전트 빌딩이 보편화돼 모든 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보다 편리한 삶은 물론, 부족해지는 생활 공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하공간, 해양도시 등의 새로운 생활공간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기술신문 천세윤 기자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