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사율 90% 에볼라바이러스, 서아프리카 확산 중 Ebola virus in West Africa

 

 

 

Ebola virus in West Africa

The current Ebola virus outbreak in West Africa is thought to have infected 1,093 people, and killed 660. Doctors Without Borders has described the epidemic as "out of control."

edition.cnn.com

 

http://www.dailymail.co.uk/home/index.html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는 필로바이러스의 에볼라 바이러스의 한 종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총칭이다. 에볼라라고 불리는 경우에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지칭하는 것 외에도 이것이 일으키는 에볼라 출혈열(Ebola hemorrhagic fever; EHF)를 의미하기도 한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형태학적, 임상적 특성은 같은 과의 마버그 바이러스와 거의 같으며, 바이러스의 첫 발견 이래 지금까지 공식화된 다수 유행기록이 있다.

'에볼라'라는 이름은 처음 이 바이러스가 발견된 주변의 강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wiki

 

 

에볼라바이러스로 600여명 사망, 의료진도 예외 없어

 

치사율이 최고 90%에 이르는 치명적인 에볼라바이러스가 서아프리카에서 확산 중이다.

 

28일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르면 지금까지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서 최소 1202명이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돼 673명이 사망했다. 또 감염된 사실을 모르고 나이지리아로 간 라이베리아 정부 관료가 사망하기도 했다.

 

에볼라바이러스를 처음 발견한 페터 피오트 박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에볼라바이러스가 대도시에서 그것도 3개국에서 동시에 발생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환자를 치료해야할 의료진 역시 감염된 사실이 알려졌다. 현지 의료진 중 약 100명이 감염되고 이중 절반인 50명이 사망했다. 감염확산을 막기가 점점 더 어려워질 거란 예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는 것 또한 이 때문이다.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열악한 보건환경도 에볼라바이러스의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


에볼라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건 1976년. 이후 지금과 같은 대규모 사망자가 나온 건 전례가 없는 일이다. 이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이전까지 널리 창궐하지 못했던 까닭에는 바이러스가 ‘너무 치명적인’ 데 있다. 독성이 너무 강해 감염 환자가 병을 퍼뜨리기 전에 일찍 사망하기 때문에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처럼 다른 사람을 전염시킬 수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에볼라바이러스의 잠복기는 1주일 정도로 그 이후엔 오한과 고열, 두통, 충혈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소화기관 장애와 함께 구토, 설사가 일어난다. 체내에선 바이러스를 죽이기 위해 ‘사이토카인’이란 물질이 분비되는데, 이 사이토카인이 한계치를 넘을 만큼 과량 분비돼 체내를 스스로 파괴하는 일이 벌어진다. 그리고 고열과 체내 과다 출혈로 불과 발병 8~9일 만에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서아프리가 보건당국이 에볼라바이러스에 속수무책인 이유 중 하나는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만큼 사람에게 임상시험을 하기가 어려워 치료제 개발이 어렵다.

 

올해 5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이 개발한 유인원용 에볼라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성과가 실렸다. 에볼라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최초의 연구성과다. 연구팀은 “사람이 아닌 유인원을 위한 백신이기 때문에 연구가 가능했다”며 임상시험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발병지역의 외국계 기업은 일부 인력을 철수시키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에볼라바이러스로 인해 해당지역의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기사본문]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4916

과학동아

이우상 idol@donga.com


Arts & Culture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