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시설 개선

더보기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설치

 

합동 점검결과 350건 위험요인 확인

횡단보도 위치·보행신호시간도 개선

 

   정부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보행환경에 맞춰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시설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대상으로 지난 5월 16일까지 관계기관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정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시설 개선
자치경찰위원회 - 서울시 edited by kcontents

 

 

단기간에 개선 가능한 사항은 연말까지 개선하고, 예산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중장기 사항의 경우 예산지원 등으로 우선 정비할 계획이다.

 

정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시설 개선
대구 수성구 대봉교 북단 교차로의 차로 축소 및 선형 조정 개선. (사진=행정안전부)

 

이번 점검은 도로교통공단에서 2018년부터 3년간 분석한 자료 중 보행 중 우회전 차량과 충돌한 교통사고가 4건 이상 발생한 지역 60곳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특히 보행환경, 안전시설, 운전자, 도로환경 요인으로 점검·분석한 결과 모두 350건의 위험요인을 확인했다.

 

먼저 횡단보도 위치 및 신호 조정 등이 필요한 보행환경 요인이 126건으로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안전시설 요인 중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시인성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총 102건이었다.

 

운전자 요인으로는 차량 과속이 81건을 차지했고, 보행 동선 확보가 필요하거나 부적합한 교차로의 구조 개선이 필요한 도로환경 요인이 13건으로 확인됐다.

 

정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시설 개선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 합동 점검결과.

 

행안부는 위험요인으로 발견된 350건 중 단기 240건과 중장기 110건으로 조치기한을 구분해 지자체에 전달하고, 위험시설을 기한 내 개선할 수 있도록 독려할 예정이다.

 

 

 

과속방지턱, 안전표지 설치 등 단기간에 개선 가능한 사항에 대해서는 연말까지 개선을 마무리하도록 한다.

 

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교차로 구조개선 등 예산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중장기 사항에 대해서는 예산지원 등을 통해 우선 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보행자 보호의무 강화를 위한 도로교통법 개정 취지에 발맞춰 횡단보도 위치·보행신호시간 등 보행환경 요인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교통사고 유형 분석에 따르면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서 사고 피해자 10명 중 7명이 도로 횡단 중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해 운전자 10명 중 6명이 횡단보도 앞 일시 정지 등 보행자 보호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분석돼 사람을 우선해 운행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정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과속방지턱·안전표지 등 시설 개선
교통사고 유형 분석.

 

정구창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우회전 보행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시설개선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며 “운전자가 곧 보행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보행자도 횡단보도 이용 때 최소한의 안전수칙을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안전개선과(044-205-4229), 경찰청 교통운영과(02-3150-0616), 도로교통공단 안전기획처(033-749-5214)

행정안전부·경찰청·도로교통공단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