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생산자물가 5.7%p↑(상승압력), 기업채산성 2.3%p↓(악화)" 한국경제연구원 Industries feel the heat of global raw material price surge

 

 

https://www.tbsnews.net/economy/industries-feel-heat-global-raw-material-price-surge-315055

 


 

작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생산자물가 5.7%p↑(상승압력), 기업채산성 2.3%p↓(악화)

「국제원자재 가격급등의 기업채산성‧생산자물가 영향분석」

 

 

   전년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생산자물가가 5.7%p 만큼 상승압력을 받고,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연간 2.3%p 감소하는 등 거시경제와 기업채산성에 상당한 부담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급등이 생산자물가 및 기업채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 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2021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원재료수입물가 42.3% 급등

2021년 원재료수입물가 42.3%↑⇨ 생산자물가 5.7%p 상승요인으로 작용

원재료수입물가 인상폭 절반 기업흡수 가정시 ⇨ 기업 채산성 2.3%p↓

핵심 원자재 안정적 공급망 확보, 국제물류 지원 강화 등 필요

 



 

작년 원재료수입물가 42.3% 폭등, 2008년 이후 최대 상승

2021년 중 수입물가는 전년대비 17.6%나 올랐는데, 수입물가를 구성하는 항목주1) 중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률이 42.3%로 가장 높았다. 원재료수입물가의 이러한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54.6%이후 13년 만에 최대치이다.

 

* 주1) 수입물가지수 용도별 상승률=원재료 42.3%(석탄, 원유 및 천연가스, 금속및비금속광물, 농림수산품)+중간재 15.5%(석탄및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자본재 △1.5%+소비재 △0.1%

 

2021년 중 원재료수입물가가 급등한 원인은 국제원유를 중심으로 한 국제원자재 가격의 가파른 상승 때문이다. 작년에 국제원유가격은 유종별로 현물가격 기준 51.4%(브렌트)에서 최대 58.7%(WTI)까지 올랐다. 비철금속가격도 알루미늄 42.2%, 아연 31.5% 등이 큰 폭으로 올랐고, 주요 곡물가격도 선물가격 기준으로 옥수수가 22.6%, 소맥이 20.3% 상승하였다.

 

 

 

2021년 원재료수입물가 42.3% 급등은 생산자물가 5.7%p 상승효과

한경연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이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주2)하였다. 분석결과, 원재료수입물가가 1%p 올라가면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0.134%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021년 연간 기준으로 적용하면, 2021년 42.3%의 원재료 수입물가 급등은 2021년 생산자물가주3)를 5.7%p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 주2) 2010년 1/4분기 이후 분기별 자료 활용, 기초자료 검정 결과 원화기준 수입물가 상승률과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시계열분석이 가능한 정상적인 계열, 기타 상세 분석 방법은 유첨 참조

 

* 주3) 2021년 실제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6.4%(한국은행)

 

원자재가 상승 절반 기업부담시 매출액영업이익률 2.3%p 악화

한경연은 기업들이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분의 절반을 기업 스스로 자체 흡수하고, 나머지 절반을 제품판매 가격에 반영(전가, 轉嫁)한다는 가정아래 국제원자재가 상승이 기업채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주4)하였다. 분석결과, 비금융업 전체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코로나19 이전인 5년(‘16년~‘20년)간 평균 5.1%였는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매출액영업이익률이 2.8%로 이전보다 연간 2.3%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의 가격전가로 인해 생산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은 6.0%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4) 상세 분석 방법은 유첨 참조

 

기업규모별 매출액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대기업이 △2.5%p, 중소기업이 △1.9%p로 대기업이 더 컸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을 대기업이 더 많이 받는 것은 매출액대비 재료비 비중이 대기업이 더 높기 때문주5)이라고 분석했다.

 

* 주5) ‘16년∼’20년 평균 대기업 31.3%, 중소기업 24.0%(한국은행 2019년 기업경영분석)

 

 

핵심원자재 공급망 안정적 확보 등으로 국제원자재 급등 파고 극복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원유, 비철금속 등 원자재 수입비중이 높아 국제원자재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물가상승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라며,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국내 거시경제 및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적 확보, 수입관세 인하, 국제물류 지원 등을 통해 수입물가 상승압력을 최대한 완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