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인터넷은 어떻게 연결되나? VIDEO: Submarine communications cable


해외 인터넷은 어떻게 연결되나?

Submarine communications cable


해저 광케이블

통신의 전송을 위해 바다 아래에 놓는 케이블.


  전 세계 인터넷의 해외 연결망 트래픽의 약 90% 이상을 해저 광케이블이 책임지고 있다




최초의 해저 전신 케이블은 1850년 영국과 프랑스 간에 놓여졌다. 대서양에는 1858년 아일랜드와 미국 뉴펀들랜드 간에 연결되었으나 케이블의 절연 실패로 사용되지 못했다가, 최초의 성공적인 상설 대서양 횡단 케이블은 1866년에 놓여졌다.


우리 나라에 부설된 최초의 해저전선은 1884년 일본의 주선으로 덴마크의 대북부 전신회사에 의하여 부산과 나가사키(長崎)간에 개설된 부산구설해저전선(釜山口設海底電線)이었다. 아울러 1885년 5월에 영국이 거문도와 중국 상해를 연결하는 해저케이블을 부설하였다. 그 뒤 1980년 11월 28일 개통된 한·일간 해저케이블 건설이 있기까지 광복 이후 35여년간에 걸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1986년에는 광섬유 하나로 현재의 전화케이블보다 회선당 용량을 수십 배나 많이 수용할 수 있고 정확도가 높아 각종 첨단통신기계를 활용할 수 있는 광케이블 부설공사에 나서 전라남도 고흥과 제주도 간의 해저케이블공사를 착공하고, 한국―일본―미국을 잇는 태평양해저케이블 건설에 참여하고 있다.


케이블은 트롤망, 닻, 지진, 해저 산사태로 손상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상어가 케이블을 물거나 향유고래가 케이블로 장난을 치다 손상시키는 경우도 존재한다. (어업활동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전체의 약 75%를 차지한다. 근해의 케이블이 더 두꺼운 이유) 이러한 케이블을 수리하는 선박이 별도로 존재한다.



초기에는 동축 케이블과 같은 구조의 구리선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광케이블을 이용해서 해저 케이블을 가설한다. 저 가느다란 몇가닥의 광섬유가 이보다 수십~수백배는 굵은 구리선보다 훨씬 고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전력 공급이 목적이라면 여전히 구리선을 사용한다.


해저 광케이블 연결도



전 세계 인터넷의 해외 연결망 트래픽의 약 90% 이상을 해저 광케이블이 책임지고 있다. 인공위성 트래픽은 1% 도 채 되지 않는다. 이 국제망을 통해 초당 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가 오가는데도 잘 버티고 있는데 사용된 광섬유의 가닥수는 겨우 10~20가닥 내외에 불과하다. 케이블 굵기의 대부분이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피복으로 사용됐고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케이블은 다 모아봐야 연필심 굵기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걸 보면 인간의 기술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경외심이 들 정도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국제망은 일본을 거쳐서 나가고 있다. 하지만 부산, 상하이, 도쿄, 타이완 북부에서 미국 서부로 직결되는 NCP 컨소시엄이 2018년에 서비스를 시작하면 한국도 미국과의 직통 해저케이블을 갖게 될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하는 사업이며 부산과 연결되는 케이블의 공사는 KT가 담당한다.


지도를 보면 동아시아 쪽 해저망이 유럽 쪽보다 훨씬 복잡하게 그려져 있는데 이건 해저케이블만 그려 놓은 것으로 지상 매설 케이블은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게 보이는 것이다. 지상 케이블까지 다 표시한 지도를 보면 딱히 동아시아 쪽 인터넷망이 압도적으로 고밀도는 아니다.

출처 나무위키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