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풍력발전 단가, 미국의 3배


좁은 국토·소음 민원이 원인

신재생에너지 '10%의 벽'

풍력발전 한국의 한계

신재생 20% 목표 맞추려면 서울의 1.7배 풍력 부지 필요

육상 풍력 이용률 23% 수준… 유럽국보다 10%p 이상 낮아

바람 약하고 방향도 들쭉날쭉… 발전 잠재력 독일의 4% 그쳐


   '풍력 강국(强國)'으로 통하는 독일엔 해상·육지를 포함, 전국에 풍력발전기 2만8217기가 깔려 있다. 독일의 풍력 발전 설비 용량은 50기가와트(GW)로 유럽 전체의 32.5%를 차지한다. 


germany wind farm SOURCE Renewable Energy World

edited by kcontents


독일은 지난해 풍력으로 전체 전력의 11.9%를 생산했다. 비결은 독일 북해에서 불어오는 평균 초속 10m의 질 좋은 바람. 독일뿐 아니라 영국·네덜란드·덴마크 등이 모두 이런 강풍을 조건으로 풍력 강국으로 성장했다. 영국엔 세계 최대 해상 풍력 단지 '런던 어레이'가 있고, 덴마크는 전체 전력 소비량의 42%를 풍력으로 충당한다. 반면 한국엔 풍력발전기가 다 합쳐도 531기, 독일의 2% 수준이다. 2013년 강원 인제 용대리에 160억원을 들여 구축한 용대풍력발전단지는 750~1500㎾ 풍력발전기 7기가 가동 중이다. 하지만 실제 이용률은 10%대. 미시령·진부령에서 부는 바람을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기대했던 초속 4m 이상 바람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발전기가 산 중턱에 있다 보니 산에서 내려오는 바람과 계곡에서 올라오는 바람이 섞이는 것도 효율이 떨어지는 원인 중 하나다.


육상풍력 잠재력은 독일의 4%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는 2009년 이산화탄소 배출 상위 10개국을 대상으로 풍력에너지 연간 발전 가능 전력을 추정했다. 육상풍력만 따지면 우리는 독일의 4% 수준에 그친다. 국토가 더 넓은 러시아·미국·중국·캐나다와 비교하면 0.1~0.3%다. 노동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바람도 약한 데다, 방향이 일정하지도 않아 '바람의 질'이 유럽에 비해 떨어진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육상 풍력발전의 이용률은 평균 23%로, 미국(49%)·독일(34%)·덴마크(34%) 등보다 낮다. 해상 풍력발전은 이용률(30%)이 육상보다는 높지만 50%에 육박하는 유럽 국가에 못 미친다. 충남 서산이나 경북 울진 평균 풍속은 바닷가인데도 초속 2.4~3.8m로 독일 북부(7~9m)나 덴마크(8~9m) 절반 이하다. 이러다 보니 아직 국내 전체 발전량에서 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기준 0.2%에 그치고 있다.


풍력발전 단가 미국 3배

태양광 발전과 마찬가지로 풍력도 땅이 많이 필요하다. 1GW 용량 풍력발전소를 짓는 데 필요한 부지는 70㎢ 정도. 최근 생산되는 터빈 크기를 기준으로 잡은 면적이다. 풍력발전기 날개 지름이 80m가 넘다 보니 태양광 등 다른 신재생 발전보다 더 넓은 땅을 확보해야 한다. 정부 목표대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맞추려면 풍력발전 설비를 15GW 늘려야 한다.이를 위해선 서울 면적(605㎢)의 1.7배에 달하는 1050㎢ 부지가 필요하다.



어렵게 부지를 찾아도 주민 반발을 극복해야 한다. 지난달 전북 부안군 위도에서 남동쪽으로 12㎞가량 떨어진 해상. 전북 지역 어민 220여명이 어선 91척에 나눠 타고 속속 모여들었다. 이곳은 2460㎿ 규모 서남해 해상풍력 개발사업 1단계 공사 구역으로, 지난 5월부터 풍력발전기를 세우기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어민들은 이날 하부 구조물을 내리고 있는 해상크레인 2기 주변을 둘러싸고 시위를 벌였다. 어민들은 "풍력발전소가 들어오면 통항금지 구역이 생겨 어장이 축소될 것"이라며 "생존권이 달린 지역 어민들의 동의도 없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원천 무효"라고 주장했다.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에서는 최근 A 업체가 7만8965㎡ 규모 국유림에 총 30.4㎿ 용량 삼동산 풍력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850억원을 들여 풍력발전기 8대를 2020년 6월까지 세울 계획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소음으로 불편이 예상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황상훈 상동읍 번영회장은 "피해 예방을 위한 대안 마련이 없다면 사업 추진을 끝까지 반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풍력발전소를 설치하려는 지역마다 이런 마찰이 수시로 벌어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갈등 해소 비용 등이 들어가 발전 단가가 해외보다 비싸게 책정된다. IEA(국제에너지지구)에 따르면, 한국 육상 풍력발전 단가는 ㎿h당 111.64달러로 미국(32.71~49.46달러), 독일(77.15달러), 스페인(81.51달러), 이탈리아(71.29달러)보다 높다.


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인구밀도가 낮은 노르웨이나 아이슬란드·스웨덴 등은 상대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게 쉽지만 한국과 유사한 인구밀도를 지닌 네덜란드·벨기에 등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10%에도 못 미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15/2017081500198.html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