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식 해상풍력’의 잠재력은 과연 Principle Power teams up with Mitsui for Japanese floating wind: VIDEO


윈드유럽, 

“2020년까지 10%, 2030년까지 25% 비용절감 가능"

국내 잠재력 충분…조선·플랜트와 시너지 기대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과 구상이 하나 둘씩 나오고 있는 가운데 ‘부유식 해상풍력’의 잠재력에 대한 관심이 높다. 


Principal Power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출처=Offshore Wind)


Principle Power teams up with Mitsui for Japanese floating wind

http://www.rechargenews.com/wind/1251892/principle-power-teams-up-with-mitsui-for-japanese-floating-wind

edited by kcontents


당초 부유식 해상풍력은 기술적·경제적으로 202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점쳐졌다. 하지만 최근 해외 각국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이 일정 궤도에 올랐고, 비용도 낮아질 것이란 진단이 속속 등장하면서 우리나라도 여러 가지 장점을 보유한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에 대한 논의가 힘을 받는 모양새다.


국내 잠재력 충분…조선·플랜트와 시너지 기대

부유식 해상풍력은 말 그대로 지반에 고정되지 않은 지지구조물에 설치되는 풍력발전시스템이다. 해상에 떠 있는 부유체 위에 풍력타워를 고정시키고 부유체의 운동을 계류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구조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구조물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는 고정식과 달리 부유식은 구조물의 크기가 일정하고 해저상태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수용성 문제도 연안에 비해 덜하다. 수심이 깊고 풍질이 좋은 먼 바다에 대규모로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풍력이 해상풍력 산업화는 물론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기여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선박과 해양플랜트 분야 기술경쟁력이 충분하다. 풍력발전기 이외에 요소부품이나 부유체 설계·제작, 계류시스템 설계 등이 필요한 부유식 해상풍력의 기술력 조기확보가 가능해 차세대 신성장산업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란 진단과 함께 침체된 조선산업을 살릴 수 있는 구원투수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부유식 해상풍력, 더 이상 R&D 전유물 아냐

지금까지 부유식 해상풍력에 대한 업계의 견해는 장점은 분명하지만 아직 기술력이나 가격경쟁력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R&D 중심으로 미래 시장을 준비해야 한다는 데 모아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EU의 풍력협회 역할을 하는 ‘윈드유럽(WindEurioe)’은 보고서를 통해 부유식 해상풍력의 기술수준이 충분히 높고, 비용도 합리적인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윈드유럽측은 “2020년까지 10%, 2030년까지 25%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유식 해상풍력의 건설, 설치, 운영과 유지보수가 모두 고정식보다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반 피네다 윈드유럽 디렉터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더 이상 R&D가 아닌, 실용 규모 프로젝트에서 완전히 상업화될 준비가 됐다”며 “2030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7%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 달성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량생산·공급 가능한 시장 필요

현재 우리나라의 해상풍력 시장은 걸음마 단계다. 지금까지 설치돼 운영중인 해상풍력발전 설비는 총 35MW에 불과하다. 서남해 해상풍력사업이 첫 삽을 떴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진단이 나온다. 중국이 동북지역에 200MW 이상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 동북지역의 바다가 우리나라의 서해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경적 요인을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 활성화가 저조한 원인으로 삼기엔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장대현 WPK 부사장은 “한국의 해상풍력은 고정식인 경우 300MW, 부유식인 경우 500MW의 스케일로 접근해야 한다”며 “최근 6~8MW 규모의 풍력터빈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소 100기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산업 모두를 동반성장시킬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장 부사장은 “풍력터빈 이외에 풍력타워와 부유체 등 다른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은 이미 상당히 높은 수준의 국산화가 끝난 상태”라며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반 신재생에너지 노선으로 인해 관련 투자수요가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나 관련 법령이 다른나라에 비해 정비가 잘 돼 있는 우리나라로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pkm@electimes.com  전기신문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