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어증, 뇌졸중 후 25~40% 발생


머리 부상·뇌종양 등 원인

뇌 손상부위 따라 증상 달라


  실어증은 읽기, 쓰기, 말하기 등 자신의 의사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타인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 장애다. 주로 뇌졸중을 겪은 성인에게 나타난다. 또 머리에 큰 부상을 당했거나, 뇌종양, 뇌 질환, 치매 등도 실어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뇌종양이나 염증 같은 병 때문에 천천히 실어증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뇌졸중 환자가 재활운동을 하고 있는 모습. <세브란스병원>

edited by kcontents


국립 실어증 협회(National Aphasia Association)에 따르면 뇌졸중에서 회복된 환자의 25~40%에게 실어증이 나타난다.


좌측 대뇌 반구의 언어 영역이 손상돼 발생하는데, 실어증은 그 원인에 따라 일시적으로 또는 장기적으로 발병한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서 발행하는 메드라인플러스(MedlinePlus) 잡지에 따르면 미국에서 매년 실어증으로 새로이 진단되는 환자는 18만 명으로 추산된다. 


완치법은 없지만 충분히 치료는 가능하다. 여러 연구들에 따르면 환자의 언어 능력을 개선시키는 치료법이 나오고 있다.


증상은 실어증의 종류와 뇌의 어느 부분에 손상을 입었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뇌졸중이 원인이라면 크게 워르니키(Wernicke‘s aphasia,한국에서는 베르니케라고 발음) 실어증과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으로 나뉜다.


워르니키 영역은 측두옆에 위치하는데, 이 부분이 손상되면 말은 유창하게 완전한 문장으로 길게 말하지만 의미가 적고, 또 남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전두엽에 위치한 브로카에 문제가 있는 브로카 실어증은 말은 제대로 못하나, 남의 말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말하거나 쓰는데 문제가 생긴다.


전문가들은 실어증이 나타난다고 해서 환자의 지능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뇌 손상으로 인해 언어 검색 정보에 문제가 생긴 것이며, 알츠하이머병과도 다르다.


육체적으로는 뇌졸중으로 인해 실어증이 생긴 많은 환자들이 주로 오른쪽 다리와 팔에 마비 문제가 있다. 




실어증의 진단을 위한 검사법에는 환자가 언어를 이해하고 말하는지에 대한 언어 검사를 비롯해 뇌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컴퓨터 단층촬영(CT)이 있다.


실어증이 뇌졸중 후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실어증 예방을 위해서는 뇌졸중 예방과 심혈관계 건강 개선에 힘써야 한다.


또한 전문가들은 머리 부상 예방을 위해 자전거를 타거나 스키를 탈 때에는 꼭 헬멧을 착용할 것을 권한다.


한편 국립 실어증 협회(National Aphasia Association www.aphasia.org), 미국 뇌졸중 협회(American Stroke Association www.strokeassociation.org/STROKEORG/) 등을 통하면 서포트 그룹이나 실어증에 대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이온 객원기자 미주한국일보

케이콘텐츠

댓글()